AI数字教科书开发指南(韩语)_第1页
AI数字教科书开发指南(韩语)_第2页
AI数字教科书开发指南(韩语)_第3页
AI数字教科书开发指南(韩语)_第4页
AI数字教科书开发指南(韩语)_第5页
已阅读5页,还剩186页未读 继续免费阅读

下载本文档

版权说明:本文档由用户提供并上传,收益归属内容提供方,若内容存在侵权,请进行举报或认领

文档简介

GM2023-11

“500만학생을위한500만개의교과서”

AI디지털교과서개발가이드라인

2|AI디지털교과서개발가이드라인

ⅠAI디지털교과서서비스개요 ⅡAI디지털교과서개발

1AI디지털교과서란 012

3

AI디지털교과서개발절차···028

정의및특성 012

핵심서비스 014

개발원칙및방향 015

개발교과및일정 018

활용모델 020

기획단계 028

설계및개발 032

운영단계 036

2AI디지털교과서서비스구성 021

4

인프라 037

2.1서비스구성도 021

[공공]AI디지털교과서포털 022

[민간]교과별AI디지털교과서서비스 024

클라우드(SaaS)기반의웹서비스 037

클라우드보안 047

공통기능연계 056

통합인증체계연계 056

교육과정표준체계기능적용 059

교과별시작화면 072

목차|3

AI기반맞춤형학습지원 073

학습진단 073

맞춤형콘텐츠 077

대시보드 085

AI튜터 093

AI보조교사 096

교사재구성기능 100

ⅢAI디지털교과서검정심사

검정심사절차및기준 156

디지털교과서의검정심사절차 156

디지털교과서의검정기준 161

학습데이터수집·관리·전송 101

데이터수집 101

데이터관리및개인정보보호 104

데이터전송 116

UDL및접근성 126

보편적학습설계 126

다양한특성을가진장애인사용자를

위한접근성준수 131

기타준수사항 147

목적외활용금지 147

선행학습금지 149

AI리스크관리 150

저작권확보 153

ⅣAI디지털교과서운영및유지·관리

AI디지털교과서품질관리 170

품질관리체계 170

학습자지원및사용자교육 175

보안및개인정보보호 176

AI디지털교과서개발가이드라인안내

가이드라인의내용가이드라인의구성

006

008

6|Part0.AI디지털교과서개발가이드라인안내

AI디지털교과서개발가이드라인안내

세계에서최초로시도되는국가단위의AI디지털교과서도입은학습자중심의맞춤형학습체제로의전환을위한핵심과제입니다.AI디지털교과서개발가이드라인은양질의AI디지털교과서제작의이정표역할과함께향후AI디지털교과서의글로벌표준역할을수행하게될것입니다.본가이드라인은AI디지털교과서개발을위한정책가이드를담고있으며,본개발정책가이드를바탕으로AI디지털교과서통합지원센터(aidt.keris.or.kr)를통해후속적인기술문서공유및컨설팅등을지원할예정입니다.본AI디지털교과서개발가이드라인의전반적인내용과구성은다음과같습니다.

가이드라인의내용

1

AI디지털교과서란

AI디지털교과서의정의와특성,개발원칙등주요정책을다룸

2

AI디지털교과서서비스구성

AI디지털교과서서비스의구성과각서비스를위한공공과민간의역할에대해다룸

3

AI디지털교과서개발절차

AI디지털교과서개발에필요한세부사항을단계적절차를통해다룸

Part0AI디지털교과서개발가이드라인안내|7

인프라

AI디지털교과서서비스제공을위한클라우드(SaaS)기반의웹서비스구성방안,AI디지털교과서활용기기및운영환경에대해다룸

공통기능연계

AI디지털교과서의통합인증체계연계,교육과정표준체계기능적용,교과별AI디지털교과서서비스시작화면구성을다룸

AI기반맞춤형학습지원

AI디지털교과서의AI기반학습진단분석결과를바탕으로학습자의맞춤형학습지원서비스의기능을다룸

7

학습데이터수집·관리·전송

AI디지털교과서개발사의학습데이터수집·관리·전송을위한기본적확인사항에관한내용을다룸

UDL및접근성

AI디지털교과서를활용하는다양한특성을가진사용자를위한서비스접근성,UDL(보편적학습설계)의요소에대해다룸

기타준수사항

AI디지털교과서의기타준수사항(학습데이터의목적외사용금지,AI리스크관리,저작권확보)에관한내용을다룸

10

검정심사절차및기준

검정교과로구분고시된AI디지털교과서의검정절차(심사영역과심사기준)를다룸

11

AI디지털교과서품질관리

AI디지털교과서의품질관리체계와학습자지원및사용자교육,보안및개인정보보호방법을다룸

8|Part0.AI디지털교과서개발가이드라인안내

가이드라인의구성

필수준수사항

기초심사에반영되는필수준수사항을제시합니다.

권고사항

개발시준용해야할권고사항을제시합니다.

체크리스트

각개발단계별자가점검체크리스트를제공합니다.

FAQ

자주묻는질문에대한답을제공합니다.

용어정의

용어에대한정의를안내합니다.

후속지원사항

본개발가이드라인의후속적인지원사항에대해안내합니다.

참고자료

추가적인참고자료를살펴보실수있습니다.

Part0AI디지털교과서개발가이드라인안내|9

개정이력

버전 개정일자 내용 작성자

2023.08.31 AI디지털교과서개발가이드라인제정 한국교육학술정보원

PART I

AI디지털교과서서비스개요

AI디지털교과서란

AI디지털교과서서비스구성

012

021

12|PartⅠ.AI디지털교과서서비스개요

1

AI디지털교과서란

본장에서는AI디지털교과서의정의와특성,개발시지켜야할원칙,2025년적용될AI디지털교과서정책에대하여소개합니다.

정의및특성

AI디지털교과서는학생개인의능력과수준에맞는다양한맞춤형학습기회를지원하고자인공지능을포함한지능정보기술을활용하여다양한학습자료및학습지원기능등을탑재한소프트웨어로다음의특성을가짐

AI에의한학습진단과분석(LearningAnalytics)

개인별학습수준과속도를반영한맞춤형학습(AdaptiveLearning)

학생의관점에서설계된학습코스웨어(Human-CenteredDesign)

학생은최적화된맞춤학습콘텐츠로배우고교사는데이터기반으로수업을디자인하며,학부모는자녀의학습활동정보를풍부하게제공받을수있는교육환경으로변화함

교사는△학생별학습경로와지식수준을이해하고△데이터기반참여형수업(토론,협력,프로젝트학습등)을설계하며△AI보조교사의활동분석을참고하여평가△학생별학습성취에맞는개별학습을제공하며△데이터를기반으로학생의성장을기록하고지지

학생은△학습속도에맞는학습을통해△학습에서성공을경험하고△내재적학습동기와자아존중감이향상되면서△가정과학교에서이해․지지받는‘나’로성장

학부모는△데이터를기반으로자녀가학습에서겪는어려움과자녀의강점․약점을파악하고△진로탐색․설계에다양한활동정보참고하여△자녀에대한깊이있는이해를바탕으로△내아이에게맞는정서적지지․격려

AI디지털교과서란|13

[AI디지털교과서비전체계도]

14|PartⅠ.AI디지털교과서서비스개요

핵심서비스

공통(학생ㆍ교사ㆍ학부모)

①대시보드를통한학생의학습데이터분석제공

②교육주체(학생,교사,학부모)간소통지원

③통합로그인

④쉽고편리한UI/UX구성및접근성보장(UDL,다국어지원등)

학생

⑤학습진단및분석

⑥학생별최적의학습경로및콘텐츠추천

⑦맞춤형학습지원(AI튜터)

교사

⑧수업설계와맞춤처방지원(AI보조교사)

⑨콘텐츠재구성ㆍ추가

⑩학생의학습이력등데이터기반학습관리

AI디지털교과서란|15

개발원칙및방향

개발3원칙 인간존엄성을위한교육:교육당국과전문기관,개발에참여하는민간등은인공지능기술이

개인과사회에미치는영향을이해하고,아이들의삶을위한교육을기획한다.

교육관계자는신기술에공존하는위험과기회를바르게인식하고,인공지능과구별되는인간다움과기본권리를강조한교육을설계해야함

신기술을안전하고책임감있게사용하도록교육당사자가AI디지털교과서를주도적으로활용‧제어하게해야함

평등한학습기회보장:아이들이언어,장애,지역,계층등사회‧문화‧경제적배경과관계없이신기술에접근하고,맞춤교육기회를갖도록설계한다.

교육의기회균등을위하여모든아이가AI디지털교과서에접근할수있도록모든조치를취해야함

학생의개별적인맞춤교육을제공하여모든학생이학습에성공할수있도록지원해야함

교사의전문성존중:모든아이는신기술로측정할수있는범위이상의능력이있음을전제로,교사가이를관찰하고지지할수있도록인공지능은교사의수업준비,평가기록등의활동을지원한다.

학생의고유한능력을발견함에있어,기술에만과의존하지않도록유의해야함

AI디지털교과서는교수자고유의전문성이효과적으로발휘될수있도록교수자를보조하고지원해야함

16|PartⅠ.AI디지털교과서서비스개요

개발방향 2022개정교육과정에근거하여학습분석결과에따라보충학습(느린학습자)과심화학습

(빠른학습자)을제공할수있도록개발해야함

느린학습자에게는학생의학습수준에맞는기본개념중심콘텐츠를추천하고,필요한경우학습결손을해소할수있는학습자료를제공(학습분석결과등을교사에게제공하여기초학력보장지원)

해당교육과정의기본학습내용을충분히소화한학생에게는토론,논술과제등심화학습콘텐츠를제공

[블룸의신교육목표분류(Bloom’sNewTaxonomy]

모두를위한맞춤교육실현을목표로모든사용자가쉽고편리하게사용할수있도록기능및UI/UX를설계함

특수교육대상학생‧장애교원등의접근성이충분히확보될수있도록보편적학습설계(UDL,UniversalDesignforLearning)적용

학생,교사,학부모,정책입안자등교육주체가학습에대한데이터기반의의사결정을내릴수있도록사용자,학교,국가차원의학습분석을통해교육시스템의지속적인개선을위한기반을제공함

학생,교사,학부모가데이터를기반으로학생의학습과정에대해더깊이이해할수있도록지원

나아가국가적차원에서데이터기반의교육의사결정을가능하게하는플랫폼의기능을충족함으로써전체적인교육의질향상에기여

AI디지털교과서란|17

|참고|교육분야인공지능윤리원칙(교육부,2022)

[대원칙]사람의성장을지원하는인공지능

-교육분야인공지능은사람의전생애에걸쳐전인적성장을최고가치로삼으며,사람의인격을존중하고개성을중시하여사람의능력이효과적으로발휘될수있도록제공되어야한다.

10대세부원칙

상세내용

①인간성장의잠재력을이끌어낸다.

교육분야인공지능은인간존엄성에대한존중을바탕으로인간성장의잠재성을이끌어낼수있도록제공되어야한다.

②학습자의주도성과다양성을보장한다.

교육분야인공지능은학습자의자기주도성을신장하는범위에서활용되고,학습자의개성과다양성을존중하여야한다.

③교수자의전문성을보장한다.

교육분야인공지능은교수자의전문성을존중해야하며,교수자가가진전문성이효과적으로발휘될수있도록개발·활용되어야한다.

④교육당사자간의관계를공고히유지한다.

교육분야인공지능은일련의교수·학습활동과정에서교육에참여하는사람들간의긍정적관계형성을도울수있게제공되어야한다.

⑤교육의기회균등과공정성을보장한다.

교육분야인공지능은모든사회구성원이지역·경제적배경등의조건에상관없이교육의기회를공정하게보장받을수있도록제공되어야한다.

⑥교육공동체의연대와협력을강화한다.

교육분야인공지능은그활용에있어민·관·학·연의협력을지향하고지속가능한교육생태계를구축할수있도록제공되어야한다.

⑦사회공공성증진에기여한다.

교육분야인공지능은학습자가민주시민으로서필요한자질을갖추고개인의행복과사회의공익추구에긍정적인영향을미치도록적용되어야한다.

⑧교육당사자의안전을보장한다.

교육분야인공지능은일련의교수·학습과정에서나타날수있는잠재적위험을방지하고안전을보장하는방향으로구현되어야하며,인공지능의활용에있어책임주체가명확히설정되어야한다.

⑨데이터처리의투명성을보장하고설명가능해야한다.

교육분야인공지능은데이터의수집·정제·선택등의과정이투명해야하고,알고리즘과데이터의처리과정이교육당사자가이해할수있는언어로설명가능해야한다.

⑩데이터를합목적적으로활용하고프라이버시를보호한다.

교육분야인공지능의개발및활용을위해수집되는데이터는활용목적에적합한정도로수집되고교육목적에부합하도록활용되어야하며,데이터의처리과정에서교육당사자의개인정보등사적영역을보호해야한다.

18|PartⅠ.AI디지털교과서서비스개요

개발교과및일정

*초등‘정보’AI디지털교과서는초3-6학년교과,창의적체험활동,학교자율활동시간에활용할수있도록개발

|참고|AI디지털교과서적용일정(안)(교육부,2023.6.)

2022개정교육과정에따라수학,영어,정보,국어(특수교육)교과를2025년부터도입하며,2028년까지국어,사회,과학,기술ㆍ가정등의교과로단계적확대적용을추진함

구분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비고

초등학교

국정

국어

국어③

국어④

국어⑤

국어⑥

-

특수교육기본교육과정

수학

수학③

수학④

수학⑤

수학⑥

검정

국어

국어3-1

국어3-2

국어4-1

국어4-2

국어5-1

국어5-2

국어6-1

국어6-2

공통교육과정

수학

수학3-1

수학3-2

수학4-1

수학4-2

수학5-1

수학5-2

수학6-1

수학6-2

-

영어

영어3

영어4

영어5

영어6

-

사회

사회3-1

사회3-2

사회4-1

사회4-2

사회5-1

사회5-2

사회6-1

사회6-2

과학

과학3-1

과학3-2

과학4-1

과학4-2

과학5-1

과학5-2

과학6-1

과학6-2

실과

실과5

실과6

인정

정보*

정보3

정보4

정보5

정보6

-

AI디지털교과서란|19

구분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비고

중학교

국정

선택

생활영어

정보통신활용

특수교육기본교육과정

검정

수학

수학1

수학2

수학3

공통교육과정

영어

영어1

영어2

영어3

정보

정보

-

-

국어

국어1-1

국어1-2

국어2-1

국어2-2

국어3-1

국어3-2

사회

사회①사회②

역사

역사①역사②

과학

과학1

과학2

과학3

기술ㆍ가정

기술ㆍ가정①기술ㆍ가정②

고등학교

국정

선택

생활영어

정보통신활용

특수교육기본교육과정

검정

수학

공통수학1

공통수학2

공통교육과정

영어

공통영어1공통영어2

정보

정보

국어

공통국어1

공통국어2

사회

통합사회1

통합사회2

역사

한국사1

한국사2

과학

통합과학1

통합과학2

기술ㆍ가정

기술ㆍ가정

합계(책)

18책

34책

25책

13책

총90책

20|PartⅠ.AI디지털교과서서비스개요

[검토기준]

△개발사의개발부담완화를위해개발연도별(2024~2027)신규과목(국어,역사,기술‧가정)과기존과목(사회,과학,영어)의비중을고려

△초등정보는학교장개설과목(인정)으로개발하고,특수교육교과(국어‧수학‧생활영어‧정보통신활용)는국정으로개발

△디지털교과서사용도가높은초등(2027년완성)→중‧고등(2028년완성)순으로적용

△학생발달단계를고려하여초등1~2학년군과심미적감성,사회‧정서능력과인성을함양하는과목(도덕,음악,미술,체육)은적용대상에서제외

[표기안내]

△학년별교과서의경우,숫자로표기(단,고등학교의경우는학년구분없이과목명대로표기)(예)초등학교영어3,영어4

△학기별로분권하는경우,숫자조합으로표기

(예)수학3-1,3-2,4-1,4-2,5-1,5-2,6-1,6-2

△정해진학년이나학기와관계없이분권하는경우,동그라미숫자로표기

(예)특수교육국어③~⑥⇒특수교육국어교과서는학년구분없이4권으로나누어개발

활용모델

학교급(초/중/고),활용방식(예습형·복습형·수업활용형등),적용과정(정규교과/방과후과정)및교과특성등을고려하여‘교사의수업설계와재량’에따라자유롭게활용

AI디지털교과서가학생의개념적이해를지원하고,교사는프로젝트학습,팀학습,자율토론등학생간상호작용과적극적인참여를촉진하는수업진행(High-TouchHigh-Tech교육)

용어정의

에듀테크 교육(Education)과기술(Technology)의합성어로,AI,AR,VR,빅데이터등최신기술을활용한교육서비스,소프트웨어,앱등을총칭한용어

AI튜터 AI를이용해학생의학습상태를분석하여부족한부분의원인을찾아이를개선할수있는전략과학습도움지원을제공하는서비스

2

AI디지털교과서서비스구성

본장에서는AI디지털교과서의서비스구성과각서비스를위한공공과민간의역할에대하여소개합니다.

AI디지털교과서서비스구성|21

서비스구성도

AI디지털교과서는공공이제공하는AI디지털교과서포털서비스와민간이제공하는교과별AI디지털교과서서비스의형태로구성함

[AI디지털교과서서비스구성도]

22|PartⅠ.AI디지털교과서서비스개요

공공은개발사가개발한AI디지털교과서를사용자친화적으로서비스하기위하여학습데이터허브를포함한AI디지털교과서포털을구축·운영함

AI디지털교과서포털은통합인증,책장,통합대시보드등의서비스를제공

학습데이터허브는국가수준학습분석,학습이력데이터관리등의역할수행

민간은AI디지털교과서포털을통해인증된사용자에게교과별AI디지털교과서를제공하고,맞춤형학습지원을위한AI기능과다양한콘텐츠를기반으로맞춤화된AI디지털교과서서비스를제공함

[공공]AI디지털교과서포털

AI디지털교과서포털은디지털교과서인증,디지털교과서책장,통합대시보드등의서비스를제공하며학습데이터허브를통해국가수준데이터분석을수행함

디지털교과서인증:통합인증을통한사용자의인증정보를바탕으로개발사의디지털교과서에접근할수있는권한제공

디지털교과서책장:교과서채택정보기반으로개발사가개발한교과별AI디지털교과서를책장,시간표등의형태로연계제공

통합대시보드:학생,교사등을대상으로통합대시보드제공

➥개발사가제공하는교과별학습분석대시보드는각개발사별AI맞춤형학습지원기능의특성을살려해당교과에특화된세부적인학습분석정보를제공

2.AI디지털교과서서비스구성|23

통합인증 하나의계정으로AI디지털교과서포털과각개발사의디지털교과서를이용할수있도록

교육디지털원패스를활용한통합인증체계를제공함

-인증된사용자의소속정보및부가정보를수집하여개발사에게제공하며,개발사의맞춤형서비스제공을위한기반을제공

➥교육디지털원패스의연계에따른정보수집·개발사제공에대한개인정보수집및활용동의수집

➥각개발사는인증서비스연계시API표준가이드에위배되지않도록개발

➥학부모인증은디지털원패스(행정안전부)활용등을검토

통합대시보드 통합대시보드를통해학습자의교과별학습활동데이터분석결과를그래프,차트,표

등시각적으로제공

➥개인별학습시간,콘텐츠수행정도등학습현황,학습성취수준등

학습데이터를기반으로학습자의맞춤형학습및자기주도학습을지원함

학습데이터허브 공공은AI디지털교과서활용학습과정에서발생하는학습데이터를기반으로국가

단위학습분석,통합대시보드,학습이력관리,AI트레이닝데이터셋공유등을위한

학습데이터허브를운영함

24|PartⅠ.AI디지털교과서서비스개요

[민간]교과별AI디지털교과서서비스

개발사는고유한AI디지털교과서개발역량을바탕으로학습자개개인의특성에맞는서비스를개발·제공함

AI디지털교과서개발사는교과서발행자격을갖추고있어야하며학생,교사,학부모를위한맞춤형서비스를제공함

공통서비스 포털의인증정보를기반으로사용자데이터를수집하고,AI기반서비스를통해AI

튜터,AI보조교사,대시보드등의맞춤형서비스를제공함

교육주체(학생,교사,학부모)간소통을강화할수있는방안을제공함

AI디지털교과서를통해수집·저장된학습이력데이터를분석하고시각화하여대시보드로제공함으로써교육주체(학생,교사,학부모)간의소통강화

각주체(학생,교사,학부모)간의대시보드노출요소를달리하여사용자별자기주도학습,수업설계및학생지도보조,자녀의학습현황파악등을제공

편의성높은UI/UX를제공하여접근성을보장함

웹접근성등의표준가이드라인을준수하여사용자의편리한서비스활용환경조성

보편적학습설계(UDL)를통해사회적배경,국적등과관계없이평등한교육환경보장

학습효과를극대화하기위해중요한상호작용의5가지차원을고려하여교과서설계

➥본개발가이드라인[제2부3.AI디지털교과서개발절차]참조

AI디지털교과서서비스구성|25

학생서비스 AI등첨단기술을활용하여개별학습진단과분석을제공함

AI기술활용개별학생의강·약점,학습태도,이해도등을다각도로진단하여분석결과제공

학습자수준진단을기반으로학습이력및결과분석을수행하고개인별학습결과제공

학생별최적의학습경로와콘텐츠를추천함

학생들의학습이해도와특성분석을기반으로개인의능력,목표에맞춤맞춤형학습경로제시

➥학습목표를설정하여현재수준을진단하고적절한학습콘텐츠추천및경로제시

학생들의학습패턴(관심사,선호도등)및수준등을종합적으로분석하여학습자에적합한콘텐츠추천

➥학습패턴분석후관심이있거나선호하는주제를식별하여적절한학습콘텐츠제시

AI튜터등의기능을제공하여학생맞춤형학습을지원함

학생의개념이해도를높이고,적시학습을지원하기위한AI튜터기능제공

➥문항풀이중심의처방이아닌개념의이해를도울수있는설명등제시

학습데이터수집·분석을통한맞춤형서비스제공

➥학습패턴및활동분석으로추가학습요소,질의응답등의기능제공

교사서비스 AI보조교사기능을제공함

교사의맞춤형수업설계및처방을위해인공지능을활용한보조교사기능제공

➥학습자의학습활동상태및학습데이터를수집하고분석하여개인별맞춤형서비스구성

수업진행을위한콘텐츠재구성·추가기능을제공함

교과별수업진행을위해AI디지털교과서서비스에서제공되는학습콘텐츠를수업별로재구성하고추가할수있는기능

학생학습이력등데이터를기반으로한학습관리방안을제공함

학습자의학습상황및학업정서등교사를위한학습관리기능제공

학생별학습데이터를체계적으로누적하고관리할수있는방안제공

학부모서비스 자녀의개별학습진단과분석결과를살펴볼수있는대시보드기능을제공함

PARTⅡ

AI디지털교과서개발

3.AI디지털교과서개발절차

028

7.학습데이터수집·관리·전송

101

4.인프라

037

8.UDL및접근성

126

5.공통기능연계

056

9.기타준수사항

147

6.AI기반맞춤형학습지원

073

28|PartⅡ.AI디지털교과서개발

3

AI디지털교과서개발절차

본장에서는AI디지털교과서의전반적인개발절차를기획단계,설계및개발단계,운영단계로나누어안내합니다.

기획단계

AI디지털교과서가맞춤형교과서로서기능을충실히달성할수있도록교육과정분석,요구분석(사용자참여설계),학습환경분석등을통해서비스를기획함

AI디지털교과서개발절차|29

교육과정분석 2022개정교육과정에대한분석을바탕으로교육내용을분석및기획함

단편적지식암기위주의교육방식을지양하고,탐구와개념기반의깊이있는학습을통해핵심역량을함양하도록기획

사용자분석 사용자참여설계절차에따라학생,교사,학부모의요구를분석함

(Empathize)교사등전문가의주도로학생,교사,학부모의활동을관찰하고심층인터뷰를통해교육주체의진짜요구를발견

(Define)AI디지털교과서를사용할고객(Persona)의특성(감정,태도,동기등)을구체적이고명확하게정의

➥수요자가겪는시간과공간의일상흐름을따라가면서발생하는감정들에공감해보는고객여정지도(CustomerJourneyMap)기법등활용

(Ideate)정의내린문제를바탕으로다양한해결방안모색

➥아이디어워크숍,아이디어스케치,시나리오작성기법등활용

(Prototype&Test)아이디어를스토리보드,프로토타입등의구체적인형태로시각화하고프로토타입을학생,교사,학부모에게공개하고피드백을받아보완

참고자료

➥빠른프로토타이핑(RapidPrototyping)작업을통해구체적인피드백수렴

∙사례로배우는국민디자인단매뉴얼(행정안전부,2020)

학습환경분석 교수·학습에영향을미치는제반환경을분석하고이를서비스기획에반영함

학생들은동일화된디지털교과서보다아바타등으로개별화된기능을원함

또한,교과서뿐만아니라개인의학업관리및친구들과의의사소통기능이필요하다고함

공통의견

30|PartⅡ.AI디지털교과서개발

차별화전략설정 수요자의견수렴등을토대로인사이트(insight)를도출하고이를바탕으로교과서

차별화전략을수립함

➥(사례)미국M사스마트북의경우학생이답변을제출할때확신의정도를함께제출(High-Medium-Low)하고,그결과를바탕으로맞춤형콘텐츠추천학습자의성장을지원하기위해탐구저널(InquiryJournal)을별도로제공

설문결과등을최신으로

학습자료추가및교과서재구성

학습자료를교과서에따라AI가추천

학생의성취나이해에따라이전학년과정을추천학생들의아이디어공유및토론수업이가능한기능디지털교과서자료를최신자료로자동업데이트교과서를교사가재구성할수있도록커스터마이징기능

워드클라우드,패들렛등학습을위한사이트,애플리케이션연계

학습추적및

학습자원

비고

②교사들이제안하는AI디지털교과서기능

제안기능 상세내용

코인으로아이템구입,꾸미는횟수제한

그룹토의및질의응답가능

상호간의학습

상호작용및

커뮤니티기능

코인획득으로학습촉진

비고

상세내용

학년에알맞은도서추천및교과서관련도서검색기능모르는단어사전검색기능

게임을통한학업확인및친구들과랭킹공유진로테스트및진로정보제공

희망하는학생들간의멘토-멘티연결학습을위한대화채팅방개설

‘문제만들기’로학생이문제제출후공유학교/학년공지시스템

수업진도페이지체크혹은퍼센트로학습진행률확인TODOLIST,D-DAY,캘린더기능으로스케줄관리출석,활동등의생기부를관리할수있는공간

AI가제공하는요약노트,개인의요약노트작성기능개인캐릭터꾸미기기능으로개인의개성표현아바타에자신의목표,기분등'나'를표현

제안기능

학업보조기능

개인학습관리개인의표현

①학생들이제안하는AI디지털교과서의기능

|참고|AI디지털교과서사용자참여디자인워크숍요구분석결과(교육부&KERIS,2023)

접근성및 교사가확장프로그램을구성할수있고원하는기능을선택할수있도록구성물리적기능 키보드등사용할수있는주변기기제공

다양한계층의접근성을위한조작단순화

필기가어려운학생들을위한편리한조작 특수학생고려

모든자료를가정과공유하지않고선택적공유가능

교사가남긴평가코멘트를가정과공유

교사의평가가아닌학생의학습과정을가정에제공학업외의태도등으로학생들에게보상을주는규칙같은학습내용을타학교와공유

온라인코티칭,코러닝기능을추가

학생의개인정보노출및학생간의비교가되지않도록구성

‘교육계정로그인’으로모든학습플랫폼에올인원시스템제공

가정과의연계

특정이슈필터링필요

학부모가아이의관심사파악

수업평가,학업에따른개인아바타성장

학습결과에따른긍정,부정피드백

성취도에다른강‧약점,잠재역량분석으로진로진학추천아이의학습내용을반영한추천도서및신문기사

학생성취도에따른심화과제제공및수준별콘텐츠디지털교과서사용을통한학습성향분석

‘질문’버튼으로언제든지질문가능

학생의관심사,성취도등을학부모와교사에게전송초,중,고학습기록을데이터화하여상위학교와공유

공통된질문이있다면해당학생들을모아함께해결할수있도록함

외국학생들과소통하거나AI와다양한언어로대화

개인학습관리

학업보조기능

지속적인연계학습

상호작용및커뮤니티기능

학업으로만평가X

실시간피드백

교사간학습자원공유

3.AI디지털교과서개발절차|31

교사의선택에의한공유

로그인

가장많은호응을얻음

교육사이트를간편하게관리할수있는통합로그인시스템(FaceID,지문)을사용하여관리및

접근이용이하면좋겠음/교사가교과서를직접재배치할수있고필요에따라학습자료를추가및제거할수있으며참고할수있는AI추천자료가많았으면좋겠음/수업-평가가일체화되고학생들의학업관리를지속적으로도와줬으면좋겠음/교사간교수·학습자료공유가가능하며같은자료로타학교와연계수업이가능했으면좋겠음/교사의판단에따라가정에자료가제공되면좋겠음

공통의견

③학부모들이제안하는AI디지털교과서

제안기능

상세내용

비고

학생들의개별화된학습이이루어질수있는공간을강조함/학생들의사용습관및성취도를분석

하여진로‧진학등에도움받기를원함/가정-학교가연계된교육을할수있도록학생들의감정,학업등을공유하고단기적학습이아닌초,중,고등학교가연계된학습이되었으면함

공통의견

32|PartⅡ.AI디지털교과서개발

설계및개발단계

기획단계의결과물을바탕으로AI디지털교과서설계,기술표준적용,서비스개발및운영,품질관리의단계별주요사항을실행함

서비스설계 맞춤형학습을위한AI서비스기능을설계함

교육과정에기반한내용중심의다양한멀티미디어자료및콘텐츠를설계함

➥(주의사항)검정및인정심사를위해콘텐츠개발시개발사와관련된정보(출판사명,저작자,저작권자등)입력금지

클라우드(SaaS)기반웹서비스방식의활용환경구축과맞춤학습지원을위한AI기술을확보함

➥본개발가이드라인[제1부1.AI디지털교과서란]및[제2부6.AI기반맞춤형학습지원]참조

교육과정표준체계를활용한교과별지식맵(Knowledgemap)을설계함

➥본개발가이드라인[제2부5.2교육과정표준체계기능적용]참조

학습데이터수집을위한표준(CaliperAnalytics,xAPI)체계를마련함

➥본개발가이드라인[제2부7.학습데이터수집‧관리‧전송]참조

상호작용설계 학생과교사,학생과학생,학생과콘텐츠,학생과시스템,학생스스로의학습

과정에서자기자신의학습활동을성찰할수있도록다차원적상호작용을설계함

3.AI디지털교과서개발절차|33

|참고|AI디지털교과서에기대하는상호작용설계에대한현장의견(교육부,2023)

①학생-교사상호작용

수업을재구성하는교사가직접콘텐츠및활동지를게시하는기능

학생이과제및포트폴리오를업로드하면교사가구두또는서면으로피드백을제공하고학생이확인후다시답변

학생의질문이나과제제출을한번에확인할수있는화면과교사피드백제공및학생에게재제출을요구하는형태필요

학생학습과정이력을상시조회할수있고학습진도및성장과정을관찰하여학생및학부모에게피드백을제공

학생학습화면을실시간으로모니터링할수있고전체적으로화면을제어하는기능

②학생-학생상호작용

한학생의의견에계속해서댓글을추가하여달수있고추천할수있는기능,실시간소통및의견나눔기능

수업중학생의견을익명으로한군데모아좋은생각에투표할수있는기능

패들렛과같은보드형글쓰기및댓글,반응,찬반토론,퀴즈,모둠별팀활동등기능구현및간단,편리한구성필요

전국단위또는지역을선택해설문에참여하고설문결과를엑셀,인포그래픽등으로다운로드하여활용

학생들간학습자료를공유하고실시간으로협업하는기능

③학생-콘텐츠상호작용

성취수준(자기수준)에맞는관련콘텐츠등을네트워크지도로구성하여스스로학습경로설정,진행

학습자의수준에따라다양한학습트리제공,학생들이선택(학습트리별만족도,학업성취향상도등정보제공)

서책교과서에는없는다양한문제가제공되고틀리면힌트제시되며정답까지확인할수있는페이지필요

학생평가까지이루어질수있도록평가요소가함께들어가고평가는개인맞춤형으로실시

게이미피케이션을적용해학생들이재미있게참여할수있도록재미요소반영

④학생-시스템상호작용

혼자학습하는것이아닌AI캐릭터가학생학습을격려하면서응원하는기능

주제어(연관주제어)에따른동료학습자학습현황,인기자료,추천자료등통계제공,AI기반의러닝매니저구현

학생구성과관리가용이한학급시스템구현및학생학습관리,과제관리등피드백제공

학생개별대시보드제공및궁금한점이있을때바로해결가능한챗봇필요

첫화면에서본인이희망하는내용을선택하여볼수있는커스터마이징기능필요

⑤학생-자신상호작용

학습일지기능(이모티콘필요),AI도우미캐릭터가응원하고오늘의할일보조및사전기능

찾아보고싶은내용을검색하여스크랩하고노트로정리할수있는기능

난이도별로직접문제를만들어보는기능

기기를사용한시간,콘텐츠등요일별,시간대별로제시하고학습이외콘텐츠접속시차단등관리필요

자신의학습과정과성장이력,결과물등을한눈에파악할수있도록디지털포트폴리오제공

34|PartⅡ.AI디지털교과서개발

UI/UX설계 웹인터페이스설계원칙과전자정부UI/UX원칙을준용하여개발

①시스템의상태가명확하게표시되어야한다(Visibilityofsystemstatus).

②시스템이현실세계와일관되게작동해야한다(Matchbetweensystemandtherealworld).

③사용자는시스템을제어하고자유롭게사용할수있어야한다(Usercontrolandfreedom).

④시스템은일관되고표준화되어야한다(Consistencyandstandards).

⑤오류를방지해야한다(Errorprevention).

⑥기억하기보다는인식할수있어야한다(Recognitionratherthenrecall).

⑦시스템의디자인은미적감각이있어야하며최소한으로유지되어야한다(Aestheticandminimalistdesign).

⑧시스템은사용하기쉽고효율적이어야한다(Flexibilityandefficiencyofuse).

⑨사용자가오류를인식하고,진단하고복귀할수있도록지원해야한다(Helpusersrecognize,diagnoseandrecoverfromerrors).

⑩시스템에는도움말과문서화가제공되어야한다(Helpanddocumentation).

웹인터페이스설계원칙

①사용자에게필요한기능과정보를제공한다.

②작업에소요되는시간과단계를최소화한다.

③직관적이고일관성있게만든다.

④사용자가원하는방식으로이용할수있게만든다.

⑤사용자가실수하지않게만든다.

⑥모든유형의사용자가이용할수있게만든다.

⑦원하는서비스와정보를쉽게찾을수있게만든다.

전자정부웹사이트UI/UX설계기준

※출처:10가지웹인터페이스설계원칙(JakobNielson,1994)

※출처:전자정부웹사이트UI/UX가이드라인(행정안전부,2019)

AI디지털교과서개발절차|35

서비스개발 맞춤형학습기능,콘텐츠등서비스개발

개별화된학습지원을위한학습진단·분석유형과도구및AI튜터및보조교사기능개발·검증

➥본개발가이드라인[제2부6.AI기반맞춤형학습지원]참조

개인별학습진단에대한분석결과를바탕으로한학생·교사·학부모대시보드개발·검증

➥본개발가이드라인[제1부1.3개발원칙및방향]및[제2부6.AI기반맞춤형학습지원]참조

데이터수집‧관리‧전송체제개발

공공의학습분석을위한학습데이터세트생성및전송규격개발

➥본개발가이드라인[제2부7.학습데이터수집‧관리‧전송]참조

교육디지털원패스,교육과정표준체계등연계적용

➥본개발가이드라인[제2부5.공통기능연계]참조

UI/UX개발및접근성검토등

사용자편의중심의UI/UX구현및모든사용자가이용가능한UDL적용

➥본개발가이드라인[제2부3.2설계및개발]및[제2부8.UDL및접근성]참조

심사준비 개발된AI디지털교과서의검정심사를위한준비및제출

체크리스트점검및자체기술검증결과서작성

배포를위한AI디지털교과서심사환경구축등

➥본개발가이드라인[제3부10.검정심사절차및기준]참조

36|PartⅡ.AI디지털교과서개발

운영단계

AI디지털교과서서비스운영과품질관리를위한활동을실시

서비스운영 서비스운영및사용자지원체제를운영

검정합격공고결과에따른서비스운영체제전환을통해오류,장애등에대한즉각대응체제구축·운영

➥본개발가이드라인[제4부11.AI디지털교과서품질관리]참조

품질관리및환류단계 서비스품질기준,보안및개인정보보호자체점검

서비스고객(학생,교사,학부모)의지속적인피드백과품질관리체계운영을통해서비스를개선하고관련사항을지속점검

➥본개발가이드라인[제4부11.AI디지털교과서품질관리]참조

4

인프라

인프라|37

개발사는AI디지털교과서서비스를제공하기위해안정적인인프라환경을구성하여야합니다.본장에서는클라우드(SaaS)기반의웹서비스구성방안과안전한클라우드환경구성을위한클라우드보안에대해안내합니다.

클라우드(SaaS)기반의웹서비스

개발사는AI디지털교과서서비스개발시학교현장에서원활하게활용될수있도록고려하고,클라우드(SaaS)기반의웹서비스형태로개발하여야함

AI디지털교과서서비스구성시학교현장에서원활하게동작할수있는권장사양을제시하여야하며,최소사양은아래에제시된사용환경을만족할수있도록개발되어야함

사용환경 AI디지털교과서의지원운영체제와사용에적합한사양

AI디지털교과서제공을위해Windows,iOS,Android운영체제를지원

운영체제

최소사양(버전)또는상세OS

Windows

windows10

iOS

11.0

Android

8.0

웹OS

Whale,Chrome

기기에관계없이브라우저를통해이용가능해야함

38|PartⅡ.AI디지털교과서개발

서비스방식 기존의서책형교과서에종속된것이아닌독립된형태로개발되어개별학습자에게맞춤화한방식으로제공함

[AI디지털교과서의서비스방식전환]

➥기존디지털교과서와같이서책형교과서의판형을바탕으로콘텐츠를추가하는방식이아닌교육과정에따라다양한AI기능을활용하여개별맞춤학습지원이가능하도록새롭게개발하여제공

개발사는AI디지털교과서서비스를클라우드서비스(SaaS)의핵심특성을고려하여개발및검증하여야함

개발사는AI디지털교과서서비스를클라우드서비스로개발함에있어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고시등을만족할수있도록구성하여야함

4.인프라|39

필수준수사항 개발사는AI디털교과서를개발·검증함에있어국제표준화문서(ISO/IEC17788)에서정의한클라우드서비스(SaaS)핵심특성을만족하도록하여야함

<클라우드서비스(SaaS)핵심특성>

사용자중심의

구분 설명

서비스이용자가제공자의개입없이서비스포털에서필요한기능을선택/

요청기반셀프서비스

(On-demandSelf-Service)

범용네트워크접속

(BroadNetworkAccess)

신속한탄력성

(RapidElasticityandScaling)

IT자원의공동이용(ResourcePooling)

서비스측정(MeasuredService)

멀티테넌시(Multi-Tenancy)

변경하고,이용가능하도록함

B2B서비스의경우,관리자가이용자의역할및권한설정등도해당

클라우드서비스를이용하기위해단말기(스마트폰,노트북,태블릿PC)에관계없이네트워크를통해접속가능하도록함

시스템구성을물리적으로변경하지않고,클라우드환경을빠르게확장/축소가능한구조여야함

상용IaaS이용시,오토스케일및로드밸런싱설정확인

IT자원(DB등)을다양한사용자가독립적으로이용할수있는분리다중임대방식인멀티테넌트구조로되어있으며,이용자요청에따라동적으로할당/회수할수있어야함

서비스(테넌트)가액세스하는가상머신,컨테이너,DB등의공동이용확인

미터링기능을이용하여자원/테넌트별사용량측정과이에따른과금(빌링)모니터링가능해야함

복수의테넌트와데이터를서로분리하고,서로접근할수없도록하는방식(물리적또는가상적리소스할당)으로,일반적으로멀티테넌시환경에서테넌트를이루는클라우드서비스사용자들은동일한클라우드서비스고객조직에속함

40|PartⅡ.AI디지털교과서개발

개발사는AI디지털교과서가클라우드환경에서동작함에있어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품질성능에관한기준을만족하도록하여야함

▶관련법령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품질·성능에관한기준(과학기술정보통신부고시제2017-7호)제1조(목적)

이기준은「클라우드컴퓨팅발전및이용자보호에관한법률」제23조제2항에따라이용자보호및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활성화를위하여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의품질·성능에관한기준(이하"품질·성능기준"이라한다)에필요한사항을정함을목적으로한다.

행정기관및공공기관의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이용기준및안전성확보등에관한고시(행정안전부고시제2023-23호)

제1조(목적)

이고시는「전자정부법」제54조의2에따라행정기관및공공기관(이하"행정기관등"이라한다)의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이용기준및안전성확보등에필요한사항과「클라우드컴퓨팅발전및이용자보호에관한법률시행령」제19조제6항에따라계약및사업종료사실의통지방법ㆍ시기,이용자정보의반환및파기방법·시기등에대한기준을정함을목적으로한다.

개발사는AI디지털교과서가학교현장에서원활하게동작할수있도록사용환경을고려하여개발하여야하고,기기에관계없이브라우저를통해이용가능하도록구성하여야함

※출처: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품질·성능세부기준(과학기술정보통신부고시제2017-7호,2017.8.24.시행)

|참고|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품질‧성능에관한세부기준

4.인프라|41

구분

설명

가용성(Availability)

가용률

정해진서비스운영시간(예정된가동시간)대비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에접속이가능한시간(실제가동시간)의비율

응답성(Responsiveness)

응답시간

이용자의조회또는요구시점부터처리가완료될때까지걸리는시간

확장성(Scalability)

확장성

이용자가증가하거나서비스기능이추가되어확장이필요한경우,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가정상적으로유지될수있는시스템구조혹은확장요청처리시간

신뢰성(Reliability)

서비스회복시간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중단시점부터정상상태로회복되기까지소요된시간

백업주기

정기적으로수행하는데이터백업의주기

백업준수율

계획된총백업건수(정기및수시백업)중정상적으로실시된백업의비율

백업데이터보관기간

백업데이터를보호ㆍ유지하는기간

서비스지속성(Service

sustainability)

서비스제공능력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를안정적으로제공할수있는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제공자의재무상태또는기술보증등의제시

지속적인서비스제공을위한전략의체계적수립서비스제공을위한조직및인력구성

서비스지원(Servicesupportability)

서비스지원체계

기술지원문서ㆍ모니터링웹사이트등이용자지원,다양한단말기ㆍ운영체제지원,보상대책마련등과같은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의이용편의성제공능력

고객대응(Customerresponse)

고객대응체계

고객의견을수렴하기위한다양한방법제공및운영능력

고객불만처리체계

고객불만을신속하고정확하게수집․처리할수있는능력

|참고|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의안전성검토항목

42|PartⅡ.AI디지털교과서개발

분야

대상

항목

인프라

1.관제및모니터링

관제시스템

운영체제

연계지원

2.장애대응

장애전파

대응체계

재발방지

3.서비스안정성

장애현황(공공클라우드영역)

정보시스템노후화

재난·재해대응체계

4.인프라운영관리

인프라점검

백업

현황관리

모의훈련

기반환경

5.기타사항

지원서비스

협력체계

서비스운영

1.자체관제체계

운영현황

환경구성

2.비상연락체계

전파대상

비상연락망

3.실시간모니터링

툴보유

외부지원

내부지원

관제항목

애플리케이션

4.인프라|43

분야

대상

항목

CSP

안내주기및임계치설정

현황보고

4.장애대응및위험관리

조직구성

사전예방

교육

백업및복구

5.계정및보안관리

서버

인프라서비스제공자

접근통제

PC보안

인력보안

운영시설

1.인증관리

데이터센터인증

2.출입통제

출입통제

보안설비

출입기록

CCTV설치

3.화재대응설비

내화구조

자동소화설비

전용소화기

화재감지기

건축자재

방화문

4.전력대응설비

전원이중화

무정전전원장치

비상발전기

※출처: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안전성검토항목(행정안전부고시제2023-23호,2023.4.12.시행)

※참고:/chromium/src/+/HEAD/android_webview/docs/channels.md

|참고|안드로이드버전별웹킷변경사항

44|PartⅡ.AI디지털교과서개발

분야

대상

항목

접지설비

5.항온항습설비

항온항습기설치

항온항습기운영

6.지진대응설비

내진설계

7.시스템모니터링

상황실

관제시스템

8.방호설비

방폭문

가스차단

가스입자여과기

EMP차폐

안드로이드버전

웹킷변경사항

Android4.4(K)

Chromium엔진프로토타입적용

Android5(L)~6(M)

GooglePlay에서제공하는‘tracks’API를통해웹뷰업데이트가능

Android8(O)~9(P)

Chrome브라우저의일부로편입되며브라우저업데이트에따라웹뷰업데이트반영

Android10~

GooglePlay를통해업데이트진행

※참고:/documentation/xcode-release-notes/xcode-14-release-notes

|참고|iOS버전에따른SDK빌드제공여부

※참고:/about/versions/oreo/android-8.0-changes?hl=ko

|참고|Hybrid(웹브라우저내부네이티브애플리케이션)형태서비스개발시,안드로이드8.0(Oreo)보안사항

4.인프라|45

구분

보안사항

SSLv3

지원하지않음

HttpsURLConnection

TLS프로토콜버전협상을잘못구현한서버와HTTPS연결을설정할때,HttpsURLConnection은더이상이전TLS프로토콜버전으로폴링하고재연결하려는시도를하지않음

SecureComputing(SECCOMP)필터

안드로이드8.0은SecureComputing(SECCOMP)필터를모든앱에적용하고허용되는syscall의목록은바이오닉을통해노출되는항목으로제한

웹콘텐츠처리

앱의웹뷰객체는멀티프로세스모드에서도동작하며보안강화를위해앱을포함한프로세스와는별개로격리된프로세스에서웹콘텐츠처리

구분

보안사항

IOS11미만

Xcode(iOS개발공식툴)14버전이후iOS11미만SDK빌드제공하지않음

체크리스트

구분 점검사항 자가점검결과

서비스방식

✔클라우드서비스(SaaS)형태의웹서비스로AI디지털교과서를구성하였는가?

□예

□아니오

핵심특징준수

✔클라우드서비스(SaaS)의핵심특징을갖추어AI디지털교과서를개발하였는가?

□예

□아니오

클라우드품질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의품질·성능세부기준을준수하였는가?

□예

□아니오

안전성확보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의안전성검토항목을모두만족하는가?

□예

□아니오

46|PartⅡ.AI디지털교과서개발

용어정의

클라우드컴퓨팅(CloudComputing)

소프트웨어제공서비스(SoftwareasaService)

직접·공유된정보통신기기,정보통신설비,소프트웨어등정보통신자원을이용자의요구나수요변화에따른정보통신망을통하여신축적으로이용할수있도록하는정보처리체계(국가클라우드컴퓨팅보안가이드라인,2023)

응용소프트웨어를별도의설치없이,네트워크를통해사용하도록제공하며애플리케이션을서비스형태로제공(국가클라우드컴퓨팅보안가이드라인,2023)

참고자료

GoogleGit(/chromium/src/+/HEAD/android_webview/docs/channels.md)

Android개발자지원센터(/about/versions/oreo/android-8.0-changes?hl=ko)

Apple개발자지원센터(/documentation/xcode-release-notes/xcode-14-release-notes)

4.인프라|47

클라우드보안

클라우드서비스기반으로개발되는AI디지털교과서는학생의학적정보가활용되고,국가가구축하는학습데이터허브에학생의학습데이터가연계됨

이에따라「클라우드컴퓨팅법」제20조,제23조및제23조의2동법시행령제15조의6등에의거보안인증을받은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를우선고려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의신뢰성을확보하고이용자를보호하기위해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의품질·성능및정보보호에관한기준(관리적‧물리적‧기술적보호조치포함)을준수할필요가있음

필수준수사항개발사는「클라우드컴퓨팅법」제23조의2,동법시행령제15조의6,「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보안인증에관한고시」제14조및제15조등에따라보안인증“중”등급이상의인프라(IaaS)와SW(SaaS)를사용하여야함

➥현재는보안인증을받은인프라(IaaS)와SW(SaaS표준등급)를우선적용

➥CSAP보안인증제의“상”,“중”등급은2023년말시행예정(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안인증여부확인을위해검정심사본제출시보안인증서또는보안인증을신청했다는증빙서류를제출(보안인증신청서,관련공문·메일등)

-검정심사본제출시에보안인증을완료하지못하여보안인증신청관련증빙서류를제출한경우,검정본심사완료전까지는보안인증서를제출하여야하며,보안인증기준을충족하지못하는경우검정합격이불가함

48|PartⅡ.AI디지털교과서개발

▶관련법령

클라우드컴퓨팅발전및이용자보호에관한법률(클라우드컴퓨팅법,2023.1.12.시행)제20조(국가기관등의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이용촉진)

➀국가기관등은업무를위하여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제공자의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를이용할수

있도록노력하여야한다.

➁국가기관등은제1항에따른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이용에있어서제23조의2제1항에따른보안인증을받은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를우선적으로고려하여야한다.

제23조(신뢰성향상)

①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제공자는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의품질·성능및정보보호수준을향상시키기위하여노력하여야한다.

②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의품질·성능에관한기준및정보보호에관한기준(관리적·물리적·기술적보호조치를포함한다.이하“보안인증기준”이라한다)을정하여고시하고,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제공자에게그기준을지킬것을권고할수있다.

제23조

温馨提示

  • 1. 本站所有资源如无特殊说明,都需要本地电脑安装OFFICE2007和PDF阅读器。图纸软件为CAD,CAXA,PROE,UG,SolidWorks等.压缩文件请下载最新的WinRAR软件解压。
  • 2. 本站的文档不包含任何第三方提供的附件图纸等,如果需要附件,请联系上传者。文件的所有权益归上传用户所有。
  • 3. 本站RAR压缩包中若带图纸,网页内容里面会有图纸预览,若没有图纸预览就没有图纸。
  • 4. 未经权益所有人同意不得将文件中的内容挪作商业或盈利用途。
  • 5. 人人文库网仅提供信息存储空间,仅对用户上传内容的表现方式做保护处理,对用户上传分享的文档内容本身不做任何修改或编辑,并不能对任何下载内容负责。
  • 6. 下载文件中如有侵权或不适当内容,请与我们联系,我们立即纠正。
  • 7. 本站不保证下载资源的准确性、安全性和完整性, 同时也不承担用户因使用这些下载资源对自己和他人造成任何形式的伤害或损失。

评论

0/150

提交评论